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개미가 싫어하는 음식, 좋아하는 음식 / 향료와 색소가 개미에 미치는 영향

by 디아나제이 2025. 7. 22.



향료나 색소도 개미가 어떤 음식을 먹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줍니다.
사람은 향이나 색에 끌릴 수 있지만, 개미는 그런 인공적인 요소를 경계하거나 피하는 본능이 있습니다.






1. 향료 (Flavourings, Aromas)


✅ 개미가 좋아하는 향
• 천연 과일향 (예: 바나나, 사과, 딸기 등)
• 꿀, 메이플시럽, 캐러멜 향
• 설탕이 많이 함유된 진짜 음식에서 나는 향

🟡 반응은 개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이런 자연적인 향은 접근을 유도할 수 있어요.

❌ 개미가 싫어하는 향
• 인공 향료 (예: 바닐린, 인공 바나나향, 시트러스향 등)
• 에센셜 오일 계열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라벤더, 레몬그라스 등)
• 방부 성격이 있는 향료 (예: 계피향, 정향 등)

➡️ 이런 향들은 개미에게는 ‘위험’ 신호처럼 작용해요.
특히 베이커리류 제품에서 강한 인공 바닐라 향이나 시트러스 향이 나면 접근을 꺼려요.






2. 색소 (Colourings)


개미는 사람처럼 색을 인식하진 않지만,
색소에 들어 있는 화학 성분의 냄새나 분자를 감지할 수 있어요.

✅ 천연 색소 (자연유래)
• 비트, 당근, 스피룰리나, 홍국, 치자 등에서 추출한 천연 색소는 상대적으로 반응이 적어요.
• 개미가 꺼리지 않음. 냄새도 거의 없음.

❌ 인공 색소
• 타르색소류 (예: Red 40, Yellow 5, Blue 1 등)은 화학 냄새를 내고, 개미에게 이질적인 자극으로 느껴질 수 있음.
• 특히 파란색, 초록색 색소는 개미가 피하는 경우가 많음.

📌 실제로 어떤 파란색 케이크나 초록색 쿠키에 개미가 접근 안 하는 이유는 이 때문일 수 있어요.






🐜 개미 입장에서 보면…


개미는 색깔보다는 ‘냄새 입자(분자)’로 음식의 성분을 분석해요.
• 당이 있는지?
• 화학물질이 섞였는지?
• 수분이 있는지?
• 위험한 냄새가 나는지?

👉 그래서 우리가 보기엔 예쁘고 향기로운 케이크라도, 개미는 이건 화학이다라고 판단하고 안 오는 것일 수 있습니다.







💡 실생활 예시



✅ 정리





이처럼 개미는 향이나 색소, 기타요소에 따라 음식을 먹을 것과 먹지 않을 것으로 분류하여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으로 분류합니다. :)
개미가 오지 않는 음식이라면, 인공적인 것이 포함된 제품은 아닐지 의심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