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판매를 시작하거나 여러 플랫폼에 상품을 등록하다 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것이 바로 SKU(재고관리단위) 설정과 사용 방식입니다. 특히 Shopee, Lazada, Qoo10, Amazon 등 각 마켓플레이스마다 SKU를 입력하거나 활용하는 방식이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
또한 SKU 코드를 어떻게 만들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재고 오류, 상품 분류, 주문 처리 속도에도 큰 차이가 생기죠. 이 글에서는 마켓별 SKU 사용 방식 차이, 실용적인 SKU 생성 팁, 그리고 자주 혼동되는 관련 용어 정리를 통해 초보 셀러도 쉽게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요즘 Qoo10(큐텐)도 많이 사용되니까, 주요 마켓플레이스(아마존, 쇼피, 라자다, 큐텐 등) 기준으로 SKU 관련 용어와 사용 방식을 정리해서 보여드릴게요.
1. SKU란? (Stock Keeping Unit)
- 내부에서 상품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고유 코드
- 사이즈, 색상, 패키지 구성 등이 다르면 각각 다른 SKU로 구분
- 판매자 중심 용어 (소비자는 보통 보지 않음)
2. 마켓별 SKU 사용 방식 비교
플랫폼 | SKU 사용 방식 | 특징 | 예시 |
Shopify | 판매자가 직접 SKU 입력 | 재고/상품별 수량 관리 필수 | PLT-SWZ-01 |
Shopee | SKU 입력 필수 (Seller SKU & Logistics SKU로 나뉨) | 물류 파트너와 연동될 경우 정확히 설정해야 함 | MUG-TRVL-BLU |
Lazada | Seller SKU & Global SKU 사용 | 글로벌 판매 시, 시스템 간 자동 연결에 필요 | APR-ITALY-RED-L |
Amazon | SKU + ASIN 병행 사용 | ASIN은 아마존이 부여, SKU는 셀러가 부여 | MYBRD-KIT001 |
Qoo10 (큐텐) | Seller Code 또는 Option Code로 사용 | 상세 옵션별로 나눠서 코드 입력 가능, 재고 연결에 중요 | BAG-KR-VINTAGE-M |
3. SKU 만들 때 팁
- 일관성 있게 만들기:
예) 제품코드-색상-사이즈 → MUG-WHT-L - 상품군별 접두사 사용:
접시(PLT), 앞치마(APR), 텀블러(TMB), 가방(BAG) 등으로 분류 - 쉽게 검색 가능하게 구성:
나중에 재고 찾거나 수정할 때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함 - 스프레드시트 관리 추천:
모든 플랫폼 SKU 코드, 실제 제품명, 바코드(EAN/UPC), 가격, 재고 등을 정리
4. 자주 헷갈리는 관련 용어
용어 | 설명 |
Seller SKU | 판매자가 직접 정하는 SKU, 대부분의 마켓에서 필요 |
Logistics SKU | 물류용 SKU (특히 Shopee에서 물류센터 출고용으로 별도 사용) |
Option Code | 큐텐에서 옵션별로 부여하는 코드 (예: 색상, 사이즈별 코드) |
Barcode (UPC, EAN) | 외부 유통/바코드 스캔용 코드 (상품 포장에 표시) |
ASIN | 아마존 상품 식별 번호 (Amazon에서 자동 부여됨) |
SKU는 단순한 상품 코드가 아니라, 상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플랫폼 간 혼동 없이 운영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 각 마켓은 SKU를 활용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플랫폼별 특징을 이해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SKU를 만들 땐 일관된 규칙과 직관적인 구조를 갖춰야 하고, 추후 검색과 확장에 유리하게 구성해야 합니다.
- Seller SKU, Option Code, Logistics SKU 등 비슷한 개념들도 많아 헷갈릴 수 있지만, 용도와 역할을 구분해서 이해하면 효율적인 상품 관리가 가능합니다.
정리된 SKU 시스템은 단순한 정리 차원을 넘어서, 판매의 신뢰성과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여주게 되는데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SKU 관리는 작은 수고로 큰 성과를 만들어내는 기반이 되니, SKU를 작성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