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골집 반셀프 PJ69

[시골집] 시골집 방문기 21년 6월 19일 / 크랙 보수할 곳 살펴보기 크랙보수를 또 엄청나게 찾아보고.. 고민을 하다가 주문할 시기를 놓쳐버렸다. 이후에 직접 사러 공구업체에 다녀오려고 했는데... 공구는 사기전에 빌릴 요량으로.. 근데 생각과 사진만으로는 크랙이 어느정도인지 이해하기 어려웠고, 다시 가서 실제로 크랙의 정도를 보고자 시골집에 갔다. 시골집에서 창고 초배지를 제거한 것은 덤^_^ 조적의 건물일 경우, 건물 내벽은 어느정도 균열이 날 수 밖에 없다. 이는 시공상에 문제일 수도 있지만 조적조 자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부위가 진행되는 편이라고 봐야겠다. 외벽은 균열이 보이지 않았는데, 내벽 조적만 균열이 나타나 있다. 처음엔 실링재로 주입은 가능할까 생각했었는데, 조적조는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그라우팅 공법으로 하기에는 안에 공간구조때문에 일.. 2021. 6. 21.
[시골집] 시골집 방문기 21년 6월 19일 / 초배지 제거 샘플(창고) / 초배지 제거 준비물 ! 롤러와 분무기, 헤라만 있으면 되요 분무기 대형을 사놓고 엄빠집ㅇ으로 시켜놨더니 ㅋㅋ 결국 가면서 페인트가게 들러 롤러 8인치랑 작은거 사고 도착! 좀 둘러보다가 바로 착수. 집을 풀고... 사온 빵이랑 먹을것도 꺼내고 하는데 아빠가 전화가 왔다. 일하지 말랜다. ㅠㅠㅠ 같이 와서 해야지 따로 하지 말랜다... 아빠말을 들어야................. 그래서 창고만 제거했다.ㅋㅋㅋ 롤러와 분무기로 물 뿌려두고, 물 적셔지기 조금 기다렸다가 헤라로 살살 밀어 들어올려서 장갑낀 손으로 쭉 뜯어주기. 롤러를 담은 통은 ㅋㅋㅋ 천안에서 호두과자 빵 사먹었던 패키지 플라스틱 활용 ㅋㅋㅋ 물 뿌리자마자 하면 너무 미끌거리고 뭉치고 힘들기만 하니, 적절하게 뿌려준 뒤 물을 좀 흡수한 후에 뜯어야 한다! 갠작으로 헤라는 뾰족하고 평평한 부분이 함께.. 2021. 6. 21.
[시골집] 구매비용정리 2 [169,400원 , 누적352,700원] / 곰팡이방지, 결로방지를 위한 자재준비 / 단열(인슐레드 INSULADD)과 방수페인트(던 에드워드 덤프록), 부자재 구매하기 1. 크랙부위 v컷팅(그라인더, v컷팅날 필요) 2. 먼지 제거 3. 크랙부위 보수 4. 면 및 얕은 크랙 처리(실리콘, 퍼티 등) 5. 단열 및 방수페인트 2회 도포 아무래도 곰팡이가 발생했던 방의 일부와, 지붕 우수관 빠짐으로 인한 습기와 곰팡이 발생지점인 창고를 방수페인트 및 단열로다가 인슐레트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공부했던 페인트 감 시리즈를 꺼내 보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부분을 찾기 어려웠다. 에폭시도 한번 더 찾아보고 ㅋㅋ 특수페인트도 찾아보고.. 하긴 했는데 아무래도 포괄적이다 보니 정작 내가 필요한 것은 스스로 찾아서...ㅠㅠ 던에드워드는 워낙... 광고를 잘 하기도 하는데, 또 그만큼 페인트도 괜찮은 것 같아서 선택 ㅋ_ㅋ 인슐레드는 나사 테크놀로지라고 써있는데 ㅋㅋ 수성 페인트.. 2021. 6. 17.
[시골집] 공구 - 그라인더 / 그라인더 날 종류, 관련 인증(ANSI, OSA, EN) /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필요한 보호장비 / 보쉬, 계양, 스탠리, 디월트 그라인더. 그라인더를 검색하면 간혹 커피 그라인더가 나올때가 있긴한데..ㅋㅋ 일반적으로는 '공구'로써 절단이 아닌 갈아내는 방식의 도구이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구입시에는 '절단' 또는 '연마' 등으로만 설명되서 마치 날만 바꾸면 설명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는 식으로 보인다. 나는 아직 그라인더를 사용해보지 않은 생 초보라서.. 처음에 단순하게 생각했다가, 그라인더가 위험하니까 못하게 하려는 내님과 함께 공부했다. (grinder accident 같은 거 찾아서 눈에 막 꽃이는거 나한테 보여줌 ㅠㅠㅠㅠㅠㅠ) 배운걸 정리해본다는 마음가짐으로 작성해봄! 내가 그라인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들은 아래와 같았다. 처음 쉽게 그라인더로 하려던 생각과 달리 최대한 그라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다. 1... 2021. 6. 16.
[시골집] 주방 상판(싱크) 업체 알아보기 - 1차 / 싱크대 상판 견적 / 인도대리석 상판(12T) 싱크볼과 전기레인지 타공까지! 처음에 넓은 범위로 싱크 공장을 알아 보았고, 일단은 가까운 곳 4군데 부터 유선상으로 알아보기로! 이전에 대리석업체도 10곳 가까이 전화해보고 비교해가면서 업체 파악하고, 발주넣었던 것처럼.. 싱크는 실제 사장님 만나보고 공장도 가보면 좋겠지만 ㅠㅠ 위치나 시간상 일단 유선으로 알아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싱크공장 위주로 알아봤다. 싱크공장은 대리석은 다른 업체에 발주내서 가져오는 것 같음. 대략적으로 그려본 싱크 모양은 아래와 같다. 가능하다면^_^... 그리고 공간이 허용한다면 저런식으로 아일랜드 겸 이동식 테이블을 만들고 싶은데.. 이건 추후에 결정할 문제! 하여간 난 나무랑 대리석이 넘흐 좋다니깐.. 근데 상판이니깐.. 진짜 대리석 아니고 인조대리석으로다가...ㅎ 알아볼 내용 >>> 1. 취급.. 2021. 6. 15.
[시골집] 크랙보수 준비하기 / 조적균열보수, 크랙보수 / 수성코킹, 탄성퍼티(빠데), 에폭시실링제, 탄성실링제, 우레탄 코킹, 우레탄 실리콘 크랙이 상당한 창고를 보수하기 위한 재료 준비. 이번 주에 시골에 가면, 초배지 제거& 크랙보수를 중점으로 할 예정. 이후에 단열페인트 마감할 것이다. 미장공사 기준 균열>>> 균열(크랙)의 종류 진행성에 따라 - 정지 균열 - 진행성 균열 형태에 따라 - 지도상 균열 - 망상균열 - 모상균열 균열의 원인 균열의 원인이라고 얘기하자면 너무 많지만.. 재료상의 원인인 수도 있고, 시공상의 원인, 사용 및 환경이나 구조 및 외력에 의한 원인 등 매우 다양하다. 재료상의 원인 - 시멘트의 이상응결 및 팽창, 수화열 - 골재에 품질, 흙, 반응성 골재 -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하, 블리딩, 건조수축 시공상의 원인 - 콘크리트의 재료배합부터 타설, 양생 등 - 철근의 부적절한 배근, 피복두께 부족 - 거푸집의 부.. 2021. 6. 14.
[시골집] 주방가구 3D 제작 모델링- rev2 / ㄱ자형 주방 / 문손잡이 없는 하부장 만들기 내가 하고싶은 디자인이 분명.. 더 이쁠 테지만, 좀더 자재 낭비를 줄이고, 간편하게 만들고자... 손잡이 없는 가구 기능만을 살린 채로 모델링. 우선 상판을 만들어주고, 18T로 73, 20, 38의 사이즈로 가구 상판 여는 구간 만들어주기^_^ 자잘한 중앙 세로 판떼기가 없으니 빠르게 진행!!!! 각 부분마다 부자재들 나눠주고, ㄱ자 만나는 부분은 같은 목재(상판으로 쓰일)로 덧대주어 상판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하기~ 상판과의 치수를 고려하다보니, 수치가 좀 바뀌었다. 그리고 저 158짜리를 싱크 바로 옆에 놓고, 도마나 잡다한 주방용품을 정리하는 용도로 쓸까 했는데.. 구획이 안 예쁠 것 같아서 다시 원위치. ㅇㅁㅇ 옆판, 밑판을 모두 그려주었다. 내부는 540, 중간 대는 18t 60으로 중간에... 2021. 6. 13.
[시골집] 주방가구 3D 제작 모델링(나름 디자인 해보았는데...) / ㄱ자형 주방 / 문손잡이 없는 하부장 만들기 주방가구 3D 모델링을 하기에 앞서, 기존 주방으로 대충 만들어 두었던 주방 수치들과 타일붙임시의 모델링을 수정해주었다. 타일 붙임 구간 105 / 755 / 2110 / 1985 타일 붙임 구간 높이는 1420 이게 또 은근 번거로웠다. 타일붙임은 5mm로, 타일두께는7mm로 모두 바꾸어줌. 하다보니까 이전에 해놓았던 타일 나누기가 마음에 안들어서 또 바꾸고 ㅡㅡ;;; 하다가 맘에 안들어서 다시 원상복구 하고 ㅋㅋㅋ 솔직히 별로 쓰잘데기 없는 부분까지 완벽하게 할라고 수정에 수정을 거듭. 2mm, 3mm 변경 굳이 함 ㅠㅠㅠㅠ 피곤한 성격.. 50*200으로 하려니.. 상부장 없는데 넘 답답해 보이나? 싶어서 100*400으로 다시 작업도 해보았다. 갖다놓은게 인덕션2구에 하이라이트1구라서 ㅋㅋ 그것도.. 2021. 6. 12.
[시골집] 셀프 주방가구 하부장 제작하기 / 주방가구에 대한 고민과 스케치 / 손잡이 없는 가구 / 가구 제작 도면 초안그리기 시트지까지 정해놓고 몇몇 부분은 리폼하기로 결정해 두고서는 주방가구 제작은 생각도 하지 않다가, 주방가구 상하부장을 모두 철거 한 후 아예 새로 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현재 주방상하부장이 물론 튼튼하지만, 아무래도 세월이 지난 만큼 누렇게 뜨거나 하는 부분을 청소하는게 더 힘들다. 2. 주방가구는 분명 현재의 기준보다 낮을 것이다.(물론 상판으로 커버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면 상판 두께가 너무 두꺼워진다!) 3. 이왕 바꿀꺼 조금 (^^?) 더 노력하면 만족할 만한 결과가 있지 않을까? (기존 가구에 타일, 상판, 싱크, 후드만 바꿨을 때 이질감이 생겨 더 마음에 안들까봐..) 주방가구는 일단 철거 후에 재 수치를 재보아야 할 것 같은데. 가구는 여러.. 2021. 6. 11.
728x90